*싱글맘 고민 상담소 오픈*

singlemom220506@gmail.com

반응형

일/투자 & M&A 4

내부수익률 (IRR, Internal rate of return) - IRR 이해안되는 사람 모여라~!

경영/경제학 비전공자로서, 재무 지식이 부족한 나는 내부수익률의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유투브 강의, 기존 업무 경험을 토대로 나와 같은 비전공자들도 알기 쉽게 풀어보려고 한다. --- 내부수익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순현재가치 (NPV, Net present value)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IRR과 관련하여 꼭 알아야 하는 개념만 짚고, IRR에 대한 본론으로 넘어가려고 한다. 1. 순현재가치 (NPV, Net present value)에서 수익률, 이익률, 할인율, 할증률의 의미 수익률, 이익률, 할증률, 할인율, 이자율은 모두 같은 %를 지칭하고, 상황에 따라 이를 지칭하는 용어만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투자 건이 있다고 한다. 투자비용 수익률 1년 후 회..

일/투자 & M&A 2022.05.20

재무제표의 종류 및 연결 -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에 대한 쉬운 설명

재무제표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 셋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우선 3가지의 재무제표는 다음과 같다. 1) 손익계산서 :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 손실 상황 기록. 즉 기업이 "얼마 벌어서 (매출), 얼마 쓰고 (비용), 얼마 남겼냐 (이익)?"라는 질문에 대한 답. 2) 대차대조표 : 기업의 재무 구조에 대한 기록. 즉, "주주가 회사에 얼마를 넣었고 (자기자본), 얼마 빌려서(대출), 총 자산은 얼마인가?" 에 대한 답. 회사의 자산을 따지고 보면 결국 빌린 것 아니면, 주주 것이란 개념에서 출발. 3) 현금흐름표 : 기업의 현금 유출입에 대한 기록. 즉. "현금이 얼마 들어왔고, 얼마 나갔는지"에 대한 답. 활용 목적 및 기능 손익계산서 • 수익이나 손실을 발생시키는 기업의 제조 및 ..

일/투자 & M&A 2022.05.13

EBIT vs EBITDA

기업 수익성 분석에 가장 기본이되는 EBIT 및 EBITDA의 개념을 정리해보았다. - EBIT은 소위 말하는 영업이익, "기업이 사업을 해서 얼마를 남겼냐?"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며, - EBITDA는 이를 현금흐름의 관점으로 전환한 지표이다. 즉 "기업이 사업을 해서 통장에 꽂힌 돈이 얼마인가?"를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주의해야 할 사항은, EBITDA (EBIT + D + A)를 구할 때, EBIT 의 값은 손익계산서에서, 감가상각비 (D), 무형자산상각비 (A)의 값은 현금흐름표에서 가져와야 한다. - 손익계산서 상에 감가상각비(D) 및 무형자산상각비(A) 항목은 전체 금액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표를 참고하면 된다. EBIT (Earnings Before Intere..

일/투자 & M&A 2022.05.13

Enterprise Value (기업가치) vs Equity Value (지분가치)

기업 투자, M&A를 할 때, 1) 해당 기업의 사업성 검토 (시장성, 경영현황, 역량, 핵심 기술)한 이후 2) 투자 수익성 분석이 필요하다. 1)이 해당 기업이 "투자할 만한 기업인가?" (얼마나 사업을 잘하고 있는가? 유망한가? 등)에 대한 질문이라면, 2)는 투자로 돈을 벌기 위해 "얼마 주고 사야하나?"에 해당하는 질문이다. 이를 위해 기업가치 (Enterprise value) 를 측정해야 하며, 유관 개념인 Equity value와 구분하거나, Equity value를 기반으로 기업가치 (Enterprise value)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Enterprise value (EV, 기업 가치) Equity value (지분가치, 주식가치, 주주가치) 정의 • 회사의 핵심 비즈니스 (본 영업..

일/투자 & M&A 2022.05.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