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맘 고민 상담소 오픈*

singlemom220506@gmail.com

반응형

상사의 thinking partner 3

끝까지 고민해보았는가?

오늘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었는데, 최상의 결과를 내기 위해 과연 끝까지 고민해보았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현업 부서로 옮긴 후, 현업이라는 핑계로, 여러 일을 하고 있다는 핑계로, Client를 대하지 않는다는 핑계로, 고민을 내려놓은 건 아닐까? 적당한 고민은 고민이 아니다. 그런 고민으로는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도 없고, 내가 이 자리에 있어야 할 이유도 없다. 한계가 있어도, 그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시도는 한 번이라도 해봐야 하는 것 아닐까?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시도조차 없이 기계적으로 일하는 건 아닌가 싶다. 생각하자, 고민하자.

일/전략 2022.09.15

상사의 Thinking partner가 되는 법 - 6) 상사가 한 번 말하면 무조건 해놓는다.

상사들이 업무 지시를 내리는 것엔 다 이유가 있다. 그래서 주로 업무 지시를 내려놓고 (또는 간단하게 이것 좀 알아봐~라 해놓고) 까먹는 경우는 잘 없다. 애초에 까먹을만큼 중요하지 않았으면 시키지 않는다. 그래서 가볍게 스치듯 말한 것도 무조건 해놓아야 한다. “그 때 내가 알아보랬잖아, 하랬잖아.” 이런 피드백은 절대 들으면 안된다. 역시 이런 피드백을 1-2번 들었다면, 그 다음부터는 무조건 빨리빨리 해놓아야 한다. 또한, 내가 다른 일들 때문에 혹은 다른 이유로 알아보지 못했다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상사가 물어보기 전에 가시성”을 주는 게 좋다. “지난번에 알아보기로 한 거 이렇게 이렇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언제쯤 완료될 거 같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된다.

일/전략 2022.07.19

상사의 Thinking partner가 되는 법 - 5) 가끔은 상사가 생각하지 못했던 포인트와 디테일을 던져라

상사가 나보다 부족한 점이 뭘까? 상사가 임원일 경우,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하지만 유일하게 내가 상사보다 잘 알 수 있는 것은 “디테일”이다. 특히 CEO나 임원이 직속 상사라면, 그들의 업무 coverage는 정말 정말 정말 정말 넓다. 그들은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넓고 깊게 (디테일까지) 이해 & 파악하는 능력이 출중하지만 깨알같은 디테일까진 챙기지 못할 수 있다. 업무 중 상사가 미처 챙기지 못한 디테일을 줄줄 꿰고 있어 물어볼 때 상시 답할 수 있으면 6점 (물론 10점 만점), 혹은 그 디테일을 기반으로 상사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포인트를 던지면 8점, 그 포인트가 상사가 생각해도 정말 좋은 포인트이자 상사의 상사에게 보고할만한 것이라면 10점이다. (보통 임원 위엔 사장, 사장 위엔 글로벌..

일/전략 2022.07.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