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투자 & M&A

재무제표의 종류 및 연결 -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에 대한 쉬운 설명

싱글맘 2022. 5. 13. 14:09
반응형

재무제표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 셋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우선 3가지의 재무제표는 다음과 같다.

1) 손익계산서 :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 손실 상황 기록. 즉 기업이 "얼마 벌어서 (매출), 얼마 쓰고 (비용), 얼마 남겼냐 (이익)?"라는 질문에 대한 답.
2) 대차대조표 : 기업의 재무 구조에 대한 기록. 즉, "주주가 회사에 얼마를 넣었고 (자기자본), 얼마 빌려서(대출), 총 자산은 얼마인가?" 에 대한 답. 회사의 자산을 따지고 보면 결국 빌린 것 아니면, 주주 것이란 개념에서 출발.
3) 현금흐름표 : 기업의 현금 유출입에 대한 기록. 즉. "현금이 얼마 들어왔고, 얼마 나갔는지"에 대한 답.

 

  활용 목적 및 기능
손익계산서 • 수익이나 손실을 발생시키는 기업의 제조 및 판매활동을 기록
• 기업의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을 보여줌.
- 매출 – 비용 (매출 원가 + 판관비) = 손익
대차대조표 • 현 시점에서의 거래 관련 수치를 등식으로 표현
- ‘현재 가진 것에서 현재 빚진 것을 빼면 현재 보유한 가치’라는 개념에서 출발
- 자산(가진 것) – 부채(빚진 것) = 자본 (보유자가 소유한 가치)
- 즉, 자산 = 부채 + 자본
• 특정일, 특정 순간, 또는 작성이 이루어진 날짜의 기업의 재무상황을 보여줌
현금흐름표 • 특정 기간 기업활동에서 비롯된 현금유입과 유출을 기록
- 기업의 현금 거래를 기록 (ATM과 유사)
- 기초 보유 현금 + 해당 기간 동안 받은 현금 – 해당 기간 동안 쓴 현금 = 기말 보유 현금

출처: 토마스 R. 아이텔슨, 한 눈에 재무제표 보는 법, 싱글맘 self-study & 분석


3가지의 재무제표는 아래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1. 매출
1) 현금흐름표의 기말현금 = 대차대조표의 현금
2) 손익계산서의 순이익은 대차대조표의 이익 잉여금에 더해짐
3) 신용매출이 발생하면, 손익계산서의 매출과 대차대조표의 외상매출금이 동일한 액수만큼 증가
4) 매출이 발생하면, 제품 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이 대차대조표의 재고 항목에서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로 이동
(재고 자산은 매출원가 기준으로 금액이 잡힘)
5) 고객이 출하된 제품에 대한 대금 지급 시, 대차대조표의 외상매출금은 현금흐름표의 현금 수취가 됨
6) 손익계산서에 매출을 기입하면, 순이익/손실 창출되어 대차대조표의 이익잉여금에 더해짐

2. 비용
1) 비용은 발생 시점과 손익계산서의 기입 시점에서 대차대조표의 외상매입금이 됨
2) 비용은 손익계산서의 순이익과 대차대조표의 이익잉여금을 감소시킴
3) 대차대조표의 외상매입금은 지급 시점에서 현금흐름표의 현금지출이 됨

3. 투자
1) 현금흐름표의 순차입은 기입 시점에서 대차대조표의 현금에 반영되며, 유동성 부채(1년 내 상환 시) 또는 장기부채(1년 후 상환 시)를 증가시킴
2) 주식 매각 시 현금흐름표의 신규 주식의 발행에 기록되며, 대차대조표의 현금 및 자본금 모두 증가
3) 손익계산서상의 감가상각비용은 대차대조표의 감가상각누계액을 증가시킴
4) 설비/장비 구매 시 현금흐름표상 고정자산 구매 금액에 반영되며, 대차대조표의 고정자산은 증가하고 현금은 감소한다.

출처: 토마스 R. 아이텔슨, 한 눈에 재무제표 보는 법, 싱글맘 self-study & 분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