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책

논리의 기술 (바바라 민토) - 2) 피라미드 구조는 어떻게 생겼는가?

싱글맘 2023. 1. 7. 07:00
반응형

 

 

1. 피라미드 구조는 위에서 아래로 전개되는 방식으로 메세지를 전달한다.

 

피라미드 구조의 예시

 

2. 피라미드 구조의 글을 쓰려면, "본인이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알아야 한다. (So What?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함)

  - 그런데, 사람들은 글을 쓰기 전에 내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잘 모른다. ㅎㅎ

 

 

3. 따라서, 본인의 생각을 피라미드의 하부 구조로 정리해보아야 함

 

  1) 주요 포인트와 보조 포인트 간의 수직적 관계

  2) 보조 포인트 간의 수평적 관계

  3) 도입부의 스토리 전개

 

 

1) 주요 포인트와 보조 포인트의 수직적 관계 :

    필자는 피라미드 정상의 핵심포인트를 통해 유발된 독자의 최초의 질문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답변해야 함 

    또한 피라미드 정상에서 한 단계 내려와서는 정상을 떠받드는 메세지에 대해 수평적으로 여러 개의 메세지들이 있을 수 있음

 

 

 

  - 독자가 모르는 무언가를 설명하면 독자의 머릿속에는 자동적으로 "왜 Why", "어떻게 How?", "무슨 말이지? Why do you say that?" 등의 논리적 의문이 생긴다.

  - 이 경우, 필자는 순서상으로 한 단계 하위계층으로 내려가서 수평적 범위에서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 그러나 독자는 그 답변을 읽어도 여전히 모르는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의문에 대해 필자는 한 단계 더 하위 계층으로 내려가서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언제까지? 독자가 더이상 논리적 질문을 하지 않을 때까지.

  - 독자가 필자가의 생각에 동의할 필요는 없지만,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는 있음

  - 독자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답변을 준비하기 전에, 그들의 머릿속에 의문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함

  - 독자가 질문하기 전에 미리 답변을 제시하는 것도 피해야 한다. 

    - 예를 들어 글의 핵심포인트를 말하기 전에, '가정'이란 장을 배열한다면, 필자가 독자에게 질문할 기회를 주지 않고 곧바로 질문에 답변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 그렇게 되면 본문의 어딘가에서 동일 정보가 질의응답으로 반복되거나, 글을 읽다가 앞으로 돌아가서 되풀이해서 읽어야 함

 

  -  수직적 관계에서는 말하고자 하는 생각의 타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한 단계 하위 계층에서 그루핑된 생각이 어떤 메세지를 전달하는지 파악할 수 있음

 

2) 수평적 관계

    수평적 관계를 통해서는 그루핑한 메세지가 논리적으로 적합한지 - 적절한 귀납적, 연역적 추론인지 - 판단할 수 있음

 

  - 수평적 관계에서 생각을 그루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귀납법 or 연역법 둘 중에 하나밖에 없다.

    - 연역적 그루핑은 단계별로 논리를 전개함

      - 일반적인 상황 진술 -> 진술할 말의 주부나 술부에 대해 구체적 진술 -> 앞의 두 가지 진술을 매개로 무엇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 설명

      - 연역적 그루핑에서 한 단계 상위로 올라가려면 최종 포인트를 중심으로 자신의 주장을 요약해야 함

         예) 결론: 소크라테스는 인간이기 때문에 죽는다

             - 모든 인간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주부)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술부)

 

    - 귀납적 그루핑은 동일한 단계의 메세지를 나타내는 항목을 하나로 묶는다.
       (우리가 회사 보고서 등에 더 많이 쓰는 방식)

      - 찬성하는 이유, 반대하는 이유, 단계, 문제점 등 

      - 그룹 내의 생각은 논리적으로 동일해야 하고,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는 항목으로 구성되어야 함

        예) 결론: 여러 나라들이 폴란드를 상대로 전투준비를 하고 있다.

              - 프랑스 군대의 탱크가 폴란드 국경에 배치되었다.

              - 독일 군대의 탱크가 폴란드 국경에 배치되었다.

              - 러시아 군대의 탱크가 폴란드 국경에 배치되었다.

 

1), 2)의 방법을 통하면 어디에서부터 피라미드를 만들기 시작하든 하나의 메세지를 시작점으로, 위, 아래, 수평 방향으로 메세지를 추가할 수 있다.

 

3) 도입부의 스토리 전개

    도입부는 독자의 최초의 질문이 일어나는 곳. 따라서, 도입부에서 글 전체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정말로 독자를 끌어들이는지, 즉 이 글이 독자의 질문에 답변하기 위해 존재하는지 확인 가능    

 

  -  피라미드를 만들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피라미드의 주된 메세지는 독자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도입부의 스토리 전개를 추적하면 명확하게 파악 가능함

  - 독자가 무엇을 궁금해하는지 파악하고, 질문에 정확하게 대답해서 지속적으로 독자를 끌어올려야 함

  -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관찰하면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는 질문에 답변하는 글을 쓰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입부에서는 질문이 발생한 배경을 추적하여 질문의 본질을 정의해준다.

  - 이를 위해 도입부에서는 아래의 [상황 - 전개 - 고객 질문]을, 본문에서는 [답변]을 하면 된다.  

    - 상황 (Situation) 이 벌어지는 시간과 장소를 정하고,

    - 전개 (Complication) - 이 상황 속에서 벌어지는 일 을 언급한다. 이에 대해 독자가

    - 질문 (Question) 을 하면 (혹은 질문 예정)

    - 답변 (Answer)를 본문에서 한다.

 

 

 

 

반응형